2025 청년 공공근로사업 완벽 가이드 | 신청 조건부터 꿀팁까지
2025 청년 공공근로사업 완벽 가이드
취업을 준비 중인 청년이라면 주목! 청년 공공근로는 안정적인 소득과 실무 경험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정부 지원 일자리 제도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신청 자격, 절차, 급여, 주의사항까지 전부 정리해드립니다.
1. 청년 공공근로란?
청년 공공근로는 실직자, 미취업자,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한 단기 공공 일자리 제공 정책입니다. 지자체 또는 행정기관에서 주관하며, 근로 조건은 최저임금 보장, 4대 보험, 간식비 지급 등이 포함됩니다.
✅ 2025년부터 고용24가 공식 플랫폼으로 통합되었으며, 신청 정보는 각 시청 또는 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2. 신청 자격 및 조건
- 연령: 만 18세 이상 (청년은 대부분 만 39세 이하)
- 소득: 가구 기준 중위소득 70% 이하 (지자체마다 상이)
- 재산: 본인 및 배우자 합산 4억 원 이하
- 상태: 실업자, 구직등록 완료자
- 배제 대상: 공무원 가족, 실업급여 수급 중, 기초생활 생계수급자 등
📊 2025년 기준: 만 18세~39세, 중위소득 70% 이하 청년은 대부분 신청 가능하며, 중복수급 제한에 유의해야 합니다.
3. 신청 방법과 절차
- 공고 확인: 거주지 관할 구청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게시판 확인
- 서류 제출: 신청서,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, 신분증 사본, 구직등록 확인증, 건강보험료 납부증명서 등
- 신청 장소: 주소지 행정복지센터(읍·면·동 주민센터)
- 선발 결과: 개별 문자 또는 공지사항으로 통보
📌 일부 지자체는 온라인 신청도 가능하며, 고용24 또는 시청 통합사이트에서 접수받는 경우도 있습니다.
4. 급여 및 근무 조건
- 시급: 2025년 기준 10,030원
- 근무시간:
- 청년 및 일반: 주 25~40시간(일 5~8시간)
- 65세 이상: 주 15시간(일 3시간)
- 부대비용: 간식비/교통비 1일 5,000원 별도 지급
- 수당: 주휴수당, 월차, 연차수당 포함 가능
- 4대보험: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 의무가입
💡 예상 월급: 하루 6시간 × 20일 근무 시 약 120만 원 이상 수령 가능
(간식비 포함 시 130만 원 수준)
5. 2025 공공근로 모집 일정
단계 |
모집 시기 |
근무 기간 |
1단계 (상반기) |
2024년 11월 ~ 2025년 2월 |
2025년 1월 ~ 6월 (4개월 이내) |
2단계 |
2025년 3월 ~ 5월 |
2025년 5월 ~ 10월 (4개월 이내) |
3단계 (하반기) |
2025년 7월 |
2025년 9월 ~ 12월 (4개월 이내) |
✨ 모집 일정은 각 시군구 사정에 따라 유동적이며, 반드시 지역 공고문을 확인하세요.
서울시 공공근로 모집 바로가기
고용24 일자리 포털 바로가기
6. 공공근로 후기 및 체험담
🗣 실제 참여자 후기 요약:
"공공근로는 단순업무지만 워라밸이 좋고, 시청/구청 내 근무는 상대적으로 쾌적합니다. 단, 민원부서 배치 시 스트레스는 있을 수 있어요."
- ✅ 장점: 최저임금 보장, 짧은 근무시간, 4대 보험, 공공기관 근무 경험
- ⚠️ 단점: 낮은 급여, 단순 반복 업무, 민원 응대 스트레스
- 📌 팁: 사무보조나 행정업무 파트는 경쟁률이 높습니다
7. 공공근로 vs 희망근로 차이
구분 |
공공근로 |
희망근로 |
시행 시기 |
정기적(연 2~3회) |
2020~2022년 코로나 특수사업 |
목적 |
지속 가능한 공공 일자리 제공 |
한시적 생계 지원 |
지원 대상 |
일반 실업자 및 저소득층 |
코로나19로 인한 실직·휴폐업자 |
급여 수준 |
최저임금 기준 + 수당 |
고정급 or 주급 형태로 지급 |
8. 중복수급 및 주의사항
- ❌ 실업급여 수급자 → 참여 불가
- ❌ 생계급여 수급자 → 참여 제한(포기 동의서 제출 시 예외 인정)
- ❌ 국민취업지원제도,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등 타 재정지원사업 중복 불가
- ❗ 직전 단계에서 중도 포기자는 다음 사업 참여 제한
- ✅ 휴학생, 방통대생, 야간대생은 참여 가능 (주간재학생은 불가)
💡 공공근로는 '이중수급'이나 '허위 구직' 등의 문제로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니 정확한 고용 상태 및 수급 현황을 고지해야 합니다.
9. 지금 내 지역 공공근로 모집 중인지 확인해보세요